관계를 읽는 시간

관계를 읽는 시간

About this Book

“내가 잘하는 만큼 사이가 좋아질 거라 믿었는데…”

“어떤 관계든 적당히 거리를 두고 싶었어요”

“내 맘 같지 않아도 괜찮아”

모든 관계에는 저마다 건강한 거리가 있다

Psychology of Boundaries 

바운더리 심리학은 ‘지금 모습으로 충분하다’는 위로의 심리학이 아니라

당신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변화의 심리학’이다. _ 프롤로그 중에서

관계의 자기결정권을 되찾는 출발선, 바운더리

사람들은 늘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어하면서 “내 맘 같지 않다”고 한탄한다. ‘성장하는 삶’이라는 화두로 꾸준히 독자와 소통해온 정신과 의사 문요한은 “상대와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혀 의도하지 않았어도 상처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인간관계의 본질”임을 직시하라고 권한다. 내 맘 같지 않은 게 당연하다는 얘기지만, 그건 ‘힘들 테니 그대로 있어도 된다’는 공허한 위로와는 다르다. 필연적인 차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관계마다 ‘건강한 거리’를 되찾아 나답게 살아가라는 ‘변화’의 심리학이다. 

《관계를 읽는 시간》에서는 그 변화의 출발점으로 ‘관계의 틀’에 주목한다. 누구나 무의식적으로 되풀이하고 있는 관계방식, 이것을 이해하고 바꾸지 않는 한 관계에서 겪는 괴로움도 반복된다. 그러면 관계틀은 어떻게 알아보고 바꿀 수 있을까? 그 여정은 ‘바운더리’라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바운더리란 인간관계에서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분해주는 자아의 경계이자 관계 교류가 일어나는 통로다. 자아의 진짜 모습은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관계 안에서 바운더리라는 형태로 그 실체를 드러낸다. 그러다 보니 왜곡된 바운더리는 필연적으로 역기능적 관계를 낳는다. 일그러진 관계는 자아발달의 왜곡(과분화, 미분화)과 인간관계의 왜곡(억제형, 탈억제형)이라는 두 변인이 교차함에 따라 순응형 ‧ 돌봄형 ‧ 지배형 ‧ 방어형이라는 4가지 관계틀로 나타난다. 일그러진 관계틀을 깨고 건강한 관계와 자기세계를 되찾으려면 ‘바운더리’부터 다시 세워야 한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