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

About this Book

★★★《커먼즈란 무엇인가》 한디디,

《말을 부수는 말》 이라영 추천! ★★★

“나에게 시골살이란 치열한 저항이다”

도시와 시골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시골살이,

시골에서 싸우며 더 촘촘한 민주주의를 상상하다

“이 책의 힘은 무엇보다 도시-시골의 이분법을 넘어서면서도 시골의 대안적 힘을 실천적으로 발견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지에 있다. …… 모순투성이인 시골살이의 구체적 장면들을 재생산하는 음험한 구조적 힘을 드러내고 다양한 이데올로기와 무수하고 복잡한 감정, 더 위태로운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보이지 않는 얼굴과 들리지 않던 목소리를 보이고 들리게 한다.”_한디디(《커먼즈란 무엇인가》의 저자)

“이 책은 치유의 장소도 낙오자들의 도피처도 아닌 시민들이 살아가는 삶의 장소로서의 지역에 대한 정치적 말하기이다.” _이라영(예술사회학자, 《정치적인 식탁》 《말을 부수는 말》의 저자)

정치적 시골살이가 시작된 사연

대도시의 유연한 노동시장 안에서 여성 노동자이자 불안정 노동자로, 또 가난한 활동가로 살던 저자는 더는 자신을 조각내서 판매하는 불안정 임금노동을 지속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면서 가난해도 죽거나 다치거나 비참해지지 않고 높은 삶의 질을 누리며 살 방법을 찾아, 어떤 존재도 착취하지 않는 삶의 가능성을 실험해왔다. 자본주의 구조의 가장자리에 있으면서도 자본주의적 삶이 아닌 다른 양식은 경험해보지 못했던 ‘자본주의의 자식’이 자본으로부터 삶의 영역을 조금씩 되찾아오기 위한 시작이었던 셈이다.

소비하기 위해 임금을 버는 노동 말고, 삶을 꾸려가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배워 가능한 한 손노동으로 직접 삶의 영역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최소한의 돈으로 존엄한 삶을 유지하는 작지만 본질적인 저항을 한 땀 한 땀 이어갔다. 하지만 직접 생산을 위해 쌓이는 짐과 순환하지 못한 채 배출되는 쓰레기와 먹거리는 도시 구조 안에서는 해결할 수 없었다. 도시에서는 더 이상 실험을 지속할 수 없다는 결론과 함께, 저자는 8년 전 시골의 삶으로 진입했다. ‘자본주의를 떠받치고 있는 “테두리 노동”의 존재들이 자본주의 구조의 바깥을 향한다면?’이라는 질문을 안고, 누구도 착취하지 않는 노동, 나를 직접 부양하는 노동에서 성취를 느끼며 살아가는 길을 찾는 긴 과정에서 다다른 결론이었다. 평생을 도시에서 살아온,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고자 하는 ‘자본주의의 자식’은 가능성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시골로 떠났다.

“이 책의 힘은 무엇보다 도시-시골의 이분법을 넘어서면서도 시골의 대안적 힘을 실천적으로 발견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지에 있다. …… 모순투성이인 시골살이의 구체적 장면들을 재생산하는 음험한 구조적 힘을 드러내고 다양한 이데올로기와 무수하고 복잡한 감정, 더 위태로운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보이지 않는 얼굴과 들리지 않던 목소리를 보이고 들리게 한다.”_한디디(《커먼즈란 무엇인가》의 저자)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