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IT사 100

대한민국 IT사 100

About this Book

한국은 어떻게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을 개통할 수 있었을까?
100장면으로 만나는 대한민국 IT 역사 다큐멘터리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1962년에 컴퓨터를 자체개발했으며,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을 개통한 국가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이 우리가 몰랐지만 우리가 알아야 하는 대한민국의 IT 역사를 재발견한 책이다.
이 책은 한국이 지금까지 거쳐 온 IT 4대 분야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 문화 분야의 역사를 아우르고 주요 인물들의 발자취를 추적, 40여 년간에 걸친 한국 IT계의 도전과 성과를 100가지 이야기 형식으로 재조명하여 흥미롭게 풀어낸다.
또한 IT 전문가인 저자는 평생에 걸쳐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그동안 잘못 알려진 IT 사료를 바로잡고 언론과 관련 연구 자료에도 나와 있지 않은 사실들을 이 책을 통해 공개하여 IT사 연표로 정리했다.《대한민국 IT사 100》을 한 장면씩 읽어나가다 보면 다큐멘터리를 감상하는 것처럼 대한민국 IT의 발전사를 한 눈에 볼 수 있을 것이다.

100장면으로 다시 만나는 대한민국 IT사
"한국의 디지털 혁명은 금속인쇄술에 이어 전 세계가 한국으로부터 받는 두 번째 큰 선물이다." 라는 엘 고어의 한국 IT에 대한 평가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IT는 4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눈부시게 발전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러한 평가를 받는 지금의 대한민국 IT를 만들었을까?, 어떻게 우리나라는 황무지와 같은 환경에서 IT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으며, 왜 축복받은 인프라를 갖추었으면서도 소프트웨어 시장이 고사했을까? 《대한민국 IT사 100》은 KIST 설립에서 퐁, 인베이더와 같은 8비트 게임을 거쳐 ‘한글’ ‘이야기’ 등 시대를 풍미한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논객 미네르바 사건에 이르기까지 한국 IT 역사에서 의미 있는 주제를 100장면으로 선별해 정리함으로써, 그 해답을 쉽고 재미있게 제시해준다.

기술사에서 문화사까지 IT 전방위를 아우르다
지금까지의 IT 역사 도서들은 기술이나 산업적인 관점에서만 한국의 IT 역사를 기술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IT는 지난 10년간 급격한 변화를 통해 사회와 문화로까지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이에 저자는 지금의 IT 한국을 만든 과거를 기술과 산업뿐만이 아니라 문화적인 차원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접근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 최초의 컴퓨터에 대한 논란에서부터 컴퓨터 독립 타이콤 프로젝트와 전길남 박사에 의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통된 인터넷 등 한국 IT의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 기술 산업 중심의 과거를 뒤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의 소통과 공유, 연대 등 현재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내다봄으로써 IT문화의 미래를 묻는다.

대한민국 IT 40년사의 재발견 - 최초로 완결된 대한민국 IT사 연표 수록
대한민국의 IT 관련 사료는 ‘칵테일’ 같은 명작 프로그램의 이미지 파일 한 장도 제대로 구하지 못할 만큼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다. 그나마 남겨진 기록조차 실제로는 1994년 8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 1993년 9월부터 시작되었다고 기재되는 등 잘못 알려진 경우가 많았다. IT 전문가인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평생에 걸쳐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그동안 잘못 알려진 IT 사료들을 바로잡고 언론 기록과 연구 자료에도 나와 있지 않은 사실들을 새로 공개하여 한국 최초로 IT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연표로 정리한다. 또한 해당 주제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대한민국 IT사 연표와는 별도로 주제별 연표를 각 항목별로 따로 정리해 수록했다.

우리가 몰랐던 대한민국 IT사, 우리가 알아야 할 대한민국 IT사
《대한민국 IT사 100》은 IT종사자들에게 현재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의 근간을 형성시킨 역사 전반을 정리한 최초의 검증된 기록을 제공한다. 또한 일반 독자들에게는 , 로 디지털문화에 접속한 이래, 대화방을 헤매며 ‘탑돌이’를 하고 에 밤을 새던 통신 시절을 거쳐 사이버가수 아담과 사이다로 충격 받고 라이코스가 물어다준 ‘마시마로’와 같은 엽기문화에 열광하며 이창은 씨 김학찬 씨 등이 활약한 1세대 인터넷논객 시절의 추억을 환기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현대인의 일상을 설명할 때에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된 IT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알려 준다.

No similar books found.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