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세상의 모든 책들 더 넓은 세계
About this Book
책이라는 밤하늘을 수놓은
80억 개의 별, 80억 개의 이야기
“새롭고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지닌 더 넓은 세계로의 여행”
다르기에 더 매력적이다!
드넓은 세계와 관계 맺기
‘책 초상화가’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제인 마운트는 수년 전부터 자칭타칭 애서가들을 찾아가 ‘좋아하는 책’ ‘인생을 바꾼 책’ ‘추천하고 싶은 책’에 대해 묻고 책을 주제로 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어왔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한 권의 책이 ‘우리가 어떻게 살았는지’ ‘신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사실을 깨닫고, 자신이 발견한 이야기들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해 방대한 프로젝트를 벌였다. 그렇게 완성된 첫 책에는 고전부터 대중문학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도 친숙한 작가와 작품들을 개괄적으로 다뤘다. 하지만 80억 인구의 다양성을 엿보기에는 도서 선별에 아쉬운 면이 있었음을 작가 스스로도 느꼈던 걸까. 팬데믹으로 사회가 멈춘 시기에 제인 마운트는 오히려 전 세계 애서가들과 연결점을 찾기 위해 다시금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혼자가 아닌 다양성 도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자미스 하퍼와 함께다.
자미스 하퍼는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로 현재 소셜미디어에서 흑인과 유색인종 중심의 문학에 초점을 맞춰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여러 담론을 즐기도록 독려하는 활동을 펼치는 다양성 도서 활동가이다. 제인과 자미스는 이전까지 일면식도 없던 사이지만 자미스의 아들이 제인에게 ‘엄마에게 줄 선물’을 의뢰하면서 인연이 닿았고, 이후 책을 만드는 일에 의기투합하게 되었다. 한 사람은 하와이에서 다른 한 사람은 워싱턴 D.C에서 살며 책이 출간될 때까지 오직 원격으로만 작업하는 신기한 경험을 해낸 두 사람. 인종도 다르고 사는 곳도 다르지만 책을 매개로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느꼈다고 전한다.
“변방의 작가와 독자, 책 판매자와 사서, 그리고 이들의 목소리를 지지하는 애서가”들에게 헌사하는 글로 시작하는 이 책은 우리가 자신과 배경이 다른 작가들이 쓴 책을 읽음으로써 전혀 다른 존재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하게 되고, 이는 곧 타문화를 이해하는 유연함을 기르는 방법이 된다고 강조한다. 나와 다른 인종 혹은 성별이 주인공인 삶을 단 몇 시간이라도 살아보면 공감능력이 늘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렌즈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독서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타인의 입장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독서가 더 큰 이해의 길을 제공하고, 대화의 길을 열어준다는 사실만은 부정할 수 없다.
책이 있는 풍경,
책이 탄생하는 공간
책으로 둘러싼 공간을 소개하는 페이지는 여전히 흥미롭다. 이미 역사가 된 전설의 작가가 아닌, 동시대에 활동하는 작가들이 직접 자신의 공간을 설명하는 「작가의 방」은 창작자가 가장 몰입하는 장소로서의 방의 풍경은 물론, 사소한 습관과 애장품 등 책 이면의 흥미로운 현장을 탐색하는 기회가 된다. 그중에는 부엌이나 소파에서 글을 쓰다 처음 혼자만의 작업 공간이 생기자 너무 사치스러운 기분이 들어 오히려 글쓰기가 힘들었다는 니콜 정이나 작은 작업용 책상이 있지만 침대의 포근함을 포기할 수 없어 언제나 침대 위에서 글을 쓴다는 재스민 길로리처럼 친근감마저 느끼게 하는 고백도 있다.
「사랑받는 서점들」에서는 사변소설, 그래픽노블, 퀴어문학 등 특정 장르를 다루는 서점을 비롯해 책과 그림으로 가득한 예술적 서점, 지역 내 여러 소수자들을 위한 행사를 열어 전통적으로 주변부에 놓였던 목소리를 중심으로 끌어들이고자 노력하는 서점 등 저마다 특색 있는 지역의 명소를 소개한다.
한편 근사한 책 표지를 디자인한 아름다운 표지를 소개하는 부분에서는 여러 훌륭한 디자이너 가운데 한국의 나 김(김영나) 디자이너의 이름이 여러 번 언급되어 반가움을 더하고, 애플TV에서 드라마로 제작하여 화제를 모은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에 대한 소개를 발견할 때면 소위 K-문화의 위상과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이밖에도 『H마트에서 울다』의 미셸 자우너, 한강, 조남주 작가의 작품도 책더미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독자를 반긴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
No similar book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