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과 한음/오성기담
About this Book
“덕망과 공로와 문장과 절개 중에서 하나만 얻어도 어진 재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하물며 그것들을 한 몸에 겸하였음에랴.” 《홍재전서(弘齋全書)》
이항복(李恒福, 1556∼1618)에 대한 정조(正祖)의 평가다. 이항복은 인재 등용에 있어 청탁과 뇌물이 관행이던 시대에 살았으면서도 공도(公道)를 벗어나는 법이 없었다. 그 때문인지 평생 가난하게 살았다. 그러면서도 매사 도량이 크고 관대했다. 그러니 ‘덕망’이 높지 않을 수 없었다. 이항복은 임진왜란 때 종사(宗社)를 회복하고 나라를 중흥시키는 일에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 일등에 봉해졌다. ‘공로’에서도 최고로 인정받은 것이다. 이항복의 문집 《백사진(白沙集)》을 살펴보면 그가 ‘문장’에서도 일가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절개’는 또한 인목대비 폐모 반대 상소인 〈정사헌의(丁巳獻議)〉에서 정점을 찍었다. 이항복은 덕망과 공업, 문장과 절개로 이름을 떨친 당대 최고의 재상이었던 것이다.
이항복은 호방한 성격과 해학으로 좌중을 사로잡을 줄 알았던 해학의 달인이기도 했다. 그의 지인들이 지은 각종 제문이나 시에서 이항복을 수식하는 말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말은 ‘호(豪)’, 즉 호방함이다.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공사석에서 늘 해학을 즐겼으며 때로는 그 해학이 당대 정치판에 대한 풍자로 나아가기도 했다. 이항복이 오랜 시간 동안 각종 문헌과 여러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사랑을 받았던 것은 덕망과 공업, 문장과 절개로 이름을 떨쳤던 조선 최고의 재상이었던 동시에, 어떤 상황에서도 여유를 잃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었던 호방한 면모를 지녔기 때문이다.
이항복 이야기는 《백사집》을 비롯해 《어우야담》, 《송천필담》, 《기문총화》, 《계압만록》, 《실사총담》 등 40여 개의 문헌에 총 177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역사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문헌 설화 가운데 가장 많은 수에 해당한다.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이야기도 만만치 않아 그 수가 170~180편에 달한다. 이항복의 이야기는 1920년대 후반에 주요 설화를 모아 이야기책으로 간행되기에 이른다. 회동서관의 《오성기담》, 신구서림의 《한음과 오성실기》, 문광서림과 세창서관의 《오성과 한음》이 그것이다. 긴 세월 동안 사랑 받으며 전해지던 그의 이야기가 최초로 근대적인 출판물로 공간된 것이다.
이 책에는 그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는 문광서림의 《오성과 한음》과 회동서관의 《오성기담》을 담고 있다. 허구와 사실의 결합을 통해 이항복의 일생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고자 했던 《오성과 한음》. 이항복의 인간상 가운데 해학과 지모를 부각하는 《오성기담》. 두 작품을 함께 살펴보면 이항복의 생애는 물론, ‘이항복 이야기’의 총체적 면모를 핍진하게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