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서유구
About this Book
“꽃을 기르는 것은 허(虛)를 기르는 것이다.”
몰락한 가문의 실학자 서유구,
흔들리는 조선을 바라보며 삶의 백과전서를 쓰다
2000년 〈현대시〉 시 부문으로 등단하고 2003년 장편소설 『꼭두의 사랑』으로 〈문학사상〉 신인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이명훈의 신작 장편소설 『소설 서유구』가 교유서가에서 출간된다. 이 소설은 농업과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 ‘규철’이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개혁가였던 서유구의 삶을 탐구하는 이야기다. 현재의 한국과 과거의 조선이 교차하는 이야기 속에서 규철은 오늘날 왜곡되고 소외되는 농업과 생태의 문제를 발견하고 뜻밖의 질문들과 마주한다.
붕괴로 치닫는 조선 후기에 그 자신 역시 몰락으로 치닫는 삶을 견디면서 서유구는 일상의 모든 것을 중시하고 주체와 대상과의 관계 역시 새롭게 모색했다. 그러한 유기적 관계성은 아프게 흘러가는 현대 문명의 뇌관마저 짚을뿐더러 미래의 길을 제시하는 창의적 파괴력의 씨앗까지 지닌다고 나는 보았다. _「작가의 말」에서
서유구는 가문이 몰락할지라도 부패한 권력과 맞섰고 혼돈의 시대에서도 끝까지 붓을 놓지 않았다. 그는 가족과 함께 지방으로 내려가 새로운 삶을 모색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만인소 사건, 홍경래의 난, 신유박해 등의 정치적 혼란과 좌절을 겪으며 농업, 상공업, 민생의 혁신을 고민했다. 그 치열한 사유는 조선 최대의 실용 백과사전 『임원경제지』로 남았다. 『임원경제지』는 농업, 상업, 생활 전반을 다룬 방대한 기록이다. 나무와 작물 재배법을 정리한 「만학지」, 조선 팔도의 시장과 유통망을 다룬 「예규지」, 식문화와 조리법을 집대성한 「정조지」 등 열여섯 지(志)로 구성돼 있다. 이 소설은 서유구의 기록이 시대의 모순을 어떻게 드러내고 변화의 가능성을 품었는지 탐구한다. 농업 개혁, 상업 구조, 생산과 노동 방식 등 그의 연구는 학문적 탐구를 넘어 실질적인 개혁을 고민했다. 주인공 규철이 그의 삶을 거울삼아 현재를 바라보는 방식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
무너진 조선, 흩어진 가족, 부서진 꿈
오래된 역사에서 탄생하는 오늘의 초상
이 소설은 조선 후기 지식인의 삶을 복원하며 역사가 오늘날에 어떤 실천적 역할을 제시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임원경제지』가 집필된 시대적 배경과 서유구가 처했던 정치적 환경이 소설에서 현재의 맥락으로 재해석된다. ‘김달순 옥사 사건’을 조사하던 규철은 서유구의 기록을 접한다. 서유구는 사대부 중심의 관료 체제에서 농업과 상업 개혁을 고민했다. 그는 기근과 토지 운영 방식 등의 문제를 연구하며 현실적 대안을 모색했다. 출판사 사장의 요청으로 연구를 이어가던 규철은 서유구가 고민했던 문제가 오늘날의 농업 및 환경 위기와 맞닿는다는 점을 발견한다. 기후 변화, 농업 정책의 구조적 문제, 생태계 파괴는 서유구가 다뤘던 식량 부족, 토지 운영 방식의 모순,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 문제와 긴밀히 연결된다. 서유구는 직접 땅을 일구며 농사를 실험하고 새로운 농업 방식을 고민했다. 규철은 과거의 기록이 단순한 지식을 넘어 현실을 바꾸려는 실천적 도구였다는 점을 깨닫는다. 기록의 의미와 지식의 실천적 가치를 되짚으며 조선 후기 개혁가의 사유에서 오늘날에도 중요한 통찰을 찾아낸다. 그렇게 서유구의 사상은 규철을 통해 다시 읽히는 것이다.
“인생을 송두리째 허비했다고 말하는 사람”,
오염 속에서 창조를 모색하다
서유구는 자신의 삶을 다섯 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모두 ‘비(費)’, 즉 허비된 시간이라 칭했다. 태어나 관직에 오르기까지, 관직에서 시골로 낙향하기까지, 망해촌에서 자급자족하며 연구에 몰두한 시절, 다시 관직으로 복귀한 시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 모든 삶의 국면을 그는 ‘소비된 시간’으로 규정했다. 이 소설에서도 비(費)는 중요한 단어다. 규철은 서유구가 왜 자신의 삶을 허비된 것이라 보았는지 고민한다. 서유구가 목격한 조선의 몰락과 현대 문명의 붕괴가 서로 겹치는 순간 규철은 기록과 실천의 의미를 새롭게 깨닫는다. 과거의 비(費)가 낭비가 아니라 필연적인 소멸과 창조의 과정이었음을 인식한 것이다.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이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오염’을 꼽았다. 정치적·환경적·사회적 오염이 만연한 시대를 살아가던 중 우연히 서유구를 알게 되었다. 그의 삶을 작품화하는 데 칠 년이 걸렸다. 서유구라는 인물을 다루면서도 단순한 역사적 복원이 아닌 서유구의 고민과 사유를 현재의 맥락에서 다시 읽는 데 집중했다. 작가는 서유구가 조선 후기에 직면했던 문제들과 현대사회의 구조적 문제들이 유사하다는 점을 그려내며 기록이 어떻게 시간을 넘어 오늘날에도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묻고자 했다. 서유구의 백과사전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조명한 이 소설에서 역사와 창조의 의미가 반추되기를 바란 것이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