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시화 천줄읽기

강재시화 천줄읽기

About this Book

왕부지(王夫之)의 저작은 100여 종 400여 권에 이르는데,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오랫동안 매몰되었다. 그가 몹시 가난해서 저술에 필요한 종이와 붓 등을 친한 친구나 문생들에게 빌려 쓴 후, 저작이 완성되면 그들에게 주었기 때문에 후손에게 남겨진 것이 없었다. 또한 그는 청조(淸朝)에 끝까지 저항했기 때문에 그의 책은 대부분 금서였다. 그러던 것이 그의 유저가 몇 차례 간각되었고, 몇 종의 ≪선산유서≫가 출판되다가, 최근 중국의 악록서사(嶽麓書社)에서 기존의 판본들을 참고·대조해서 전 16책의 ≪선산전서(船山全書)≫가 출간되었다. ≪강재시화≫란 명칭은 왕부지 자신이 붙인 것은 아니다. 1843년에 18종 150권의 ≪선산유서≫를 간각하였는데, 교감을 맡은 등현학이 왕부지의 저작 중에서 ≪시역(詩譯)≫, ≪석당영일서론내편(夕堂永日緖論內篇)≫, ≪남창만기(南?漫記)≫를 각각 권일(卷一) ≪시역≫, 권이(卷二) ≪석당영일서론내편≫, 권삼(卷三) ≪남창만기≫라 하여 이를 ≪강재시화≫ 삼권이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이는 편자의 시각에 따라 달리 편제되었으며, 이 책은 ≪시역≫, ≪석당영일서론내편≫, ≪석당영일서론외편≫, ≪남창만기≫ 4권을 역주 대상으로 하고, 이와 같은 순서로 편제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역≫은 ≪시경(詩經)≫의 시구들을 예술적 관점에서 분석·해석하여 각종의 시가 예술론을 제기한 것이다. ≪석당영일서론내편≫에서는 역대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품평하여 자신의 시가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과 견해 등을 밝혀놓았고, ≪석당영일서론외편≫에서는 경의(經義)에 대해 논했다. ≪남창만기≫는 호남(湖南) 형양(衡陽) 지방의 문인들과의 화창 활동 및 당시 그 지역 문인들의 문학 활동을 기록한 것이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