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서 리얼리즘 - 장성규 평론집
About this Book
2007년 신춘문예로 등단한 신예비평가 장성규가 첫 평론집 을 상재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그가 바라보는 바로 지금 후기자본주의 시대는 ‘사막’이다. 그는 이 ‘사막’을 가로질러 건너가기 위한 문학의 주요 수단으로 주저 없이 ‘리얼리즘’을 꼽는다. 그러나 그는 이 책을 통해 낡은 반영론적 리얼리즘이 아닌, 후기자본주의의 변화하는 현실지형에 상응하는 새로운 현실탐구의 관점을 야심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사막 너머를 꿈꾸는 새로운 문학의 문법들 후기자본주의 현실과 대응하며 징후적으로 성과를 보여주는 2000년대 문학의 새로운 문법과 달리, 비평은 기존의 비평적 구도로만 이를 파악하려 해왔다. 이는 특히 진보적 문학을 지향하는 비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저자는 문학의 새로운 문법과 비평의 진부한 구도를 극복하기 위해 2000년대 문학의 새로움의 실체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문학과 현실 간의 관계 맺음에 대한 새로운 미학적 원리를 추출하고 있다. ‘마주침의 문법’이란 부제목로 묶인 1부에서는 김사과 · 황정은 · 정지아 · 김연우와 박민규 · 권리 · 조두진 · 김경욱 · 윤고은 등의 소설을 통해 주체와 타자 간의 윤리적 관계 맺음과 비가시적인 형식으로 현현하는 리얼리티를, 그리고 백무산 · 황규관 · 김사이 등의 시를 통해 노동 개념의 급진적 재구성과 시적 리얼리티의 문제 등을 점검하고 있다. ‘진화하는 현실주의’라는 부제목으로 묶인 2부에서는 2000년대 문학의 주요논쟁 사안이었던 트랜스 내셔널 징후에 대한 황호덕 · 복도훈 · 조정환 · 이명원의 글을 살펴보며 이 논쟁 과정에서 다뤄진 방현석 · 오수연 · 정도상 · 권리의 소설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트랜스 내셔널 논쟁이 주체와 타자 간의 관계 맺음의 ‘윤리’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최근 ‘시와 정치’에 대한 논의가 감각의 분배학이 아닌 교감의 정치학으로 그 문제 설정부터 다시 잡아야 함을 지적하며 시적 교감을 통해 문학적 정치성을 복원하려는 텍스트들을 살피고 있다. 김영하, 김훈, 김연수의 역사소설을 통해서는 대문자 역사의 틈새를 비집고 하위주체들의 대안 역사를 기획하고 있음을, 남북관계를 다룬 황석영, 이응준의 소설을 통해서는 탈분단의 문제설정에 의해 소수자 정치의 가능성을 제기하는 탈분단 문학의 지향점을 추출하고 있다. 저자는 이 작품들을 통해 리얼리즘이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끊임없이 스스로를 재구성하는 긴장과 모순의 변증법의 소산임을 밝히고 있다. 일제 말기 ‘사소설’에서부터 최근 장기하로 표상되는 저항문화까지 폭넓게 문학 · 문화적 현상들을 계열화하고 의미화한 3부에서는 ‘연속과 단절, 일탈과 계열’의 관점에서 우리 문학의 좌표를 읽고 있다. 특히 2000년대 문학(화)을 배태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텍스트의 위치를 점검하는 비평이 부족함을 지적하며 역사적 인식으로부터 현재의 좌표를 측정하고 있다. 개별 작품집들을 다룬 4부에서는 사막에서 리얼리즘의 가능성을 징후적으로 보여준 작품집을 주목하고 있다. 저자는 이 작품들을 ‘징후 너머의 텍스트들’이라 명명하고 있는데, 이들이 추의 미학이나 채플린-소설가, 편집증적 징후, 몽유의 글쓰기 등 나름의 방식으로 비루한 현실과 맞짱을 뜨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분열된 시적 주체를 통해 성과를 이루고 있는 2000년대 현대시를 통해 지금까지의 문학적 관습과는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혁명의 언어가 분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
No similar books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