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984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3부 1901(English Classics984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II)
About this Book
▶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1901(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89년 정신병원에 입원한 후 출간된 저서입니다. 그가 병동에 누워 있는 동안 그보다 두 살 어린 여동생 엘리자베트(Therese Elisabeth Alexandra Förster-Nietzsche, 1846~1935)는 나치의 열렬한 추종자로써 니체의 미발표원고를 취합해 니체 아카이브(Nietzsche Archive, 1894)를 설립하는가 하면, 기존의 작품을 편집해 발간하는 등 탁월한 처세술(?!)을 발휘하였습니다. 심지어 그녀의 장례식장에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가 직접 방문하였다는...?!
▷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The Will to Power)는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가 주장한 살려는 의지(Will to live)에 영향을 받아 탄생하였습니다. 그러나 엘리자베트의 편집으로 인하여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사상 원리’로써 제시된 권력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 The Will to Power)란 개념은 니체의 뜻과 무관하게 변용되었고, 아돌프 히틀러가 자신의 권력을 합리화하는 권력의지설(權力意志說)로 활용되며 독일과 온 유럽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병동에 누워있는 니체가 알면 벌떡 일어날만한 일이 아닐 수 없겠습니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나치 추종자인 엘리자베트에 의해 악용된 것으로 니체에게 친나치주의자이거나 반유대주의자(Antisemitismus)란 오명이 씌여진 원인이 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RANSLATOR'S PREFACE. Unfortunately, The Will to Power was never completed by its author. The text from which this translation was made is a posthumous publication, and it suffers from all the disadvantages that a book must suffer from which has been arranged and ordered by foster hands... It is deeply to be deplored that Nietzsche was never able to complete his life-work... It is to be hoped that we are too sensible nowadays to allow our sensibilities to be shocked by serious and well-meditated criticism, even of the most cherished among our institutions, and an honest and sincere reformer ought no longer to find us prejudiced—to the extent of deafness—against him, more particularly when he comes forward with a gospel—"The Will to Power"—which is, above all, a test of our power to will. ANTHONY M. LUDOVICI.
▷ 번역가의 서문. 불행하게도, 권력에의 의지는 결코 저자에 의해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이 번역본은 사후에 출판된 것입니다. 그리고 책이 겪어야 할 모든 불이익을 겪고 있습니다. 이 책은 수양인의 손에 의해 배열되고 주문되었습니다... 니체가 평생의 일을 끝내지 못했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너무 분별력이 있어서, 심지어 우리 기관들 중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조차도 진지하고 잘 계획된 비판에 의해 우리의 감성이 충격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직하고 성실한 개혁가는 더 이상 우리가 그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그가 고스피치를 들고 나설 때 말입니다l—"힘에의 의지"—무엇보다도 의지에 대한 우리의 힘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앤서니 M. 루도비치.
▶ 479. The phenomenalism of the "inner world!" A chronological inversion takes place, so that the cause reaches consciousness as the effect.—We know that pain is projected into a certain part of the body although it is not really situated there; we have learnt that all sensations which were ingenuously supposed to be conditioned by the outer world are, as a matter of fact, conditioned by the inner world: that the real action of the outer world never takes place in a way of which we can become conscious.... That fragment of the outer world of which we become conscious, is born after the effect produced by the outer world has been recorded, and is subsequently interpreted as the "cause" of that effect....
▷ 479. "내부 세계"의 현상주의. 시간적 반전이 일어나, 원인이 효과로서 의식에 도달합니다.—우리는 고통이 실제로 몸의 특정 부분에 투영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고통은 실제로 외부 세계에 의해 조정되어야 하는 모든 감각은 내부 세계에 의해 조정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외부 세계의 진정한 작용은 결코 우리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의식을 되찾습니다... 우리가 의식하게 되는 외부 세계의 조각은 외부 세계에 의해 생성된 효과가 기록된 후에 태어나고, 그 결과 그 효과의 "원인"으로 해석됩니다...
▶ 592. The antagonism between the "true world," as pessimism depicts it, and a world in which it were possible to live—for this the rights of truth must be tested. It is necessary to measure all these "ideal for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at antagonism: the struggle of sickly, desperate life, cleaving to a beyond, against healthier, more foolish, more false, richer, and fresher life. Thus it is not "truth" struggling with Life, but one kind of Life with another kind.—But the former would fain be the higher kind!—Here we must prove that some order of rank is necessary,—that the first problem is the order of rank among kinds of Life.
▷ 592. 비관주의가 묘사하는 "진정한 세계"와 그것이 살 수 있는 세계 사이의 반목 - 이것은 진실의 권리를 시험해야 합니다. 그 적대감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삶의 기준에 따라 이 모든 "이상적인 힘"을 측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들고, 절망적인 삶, 더 이상적인 삶, 더 건강하고, 더 어리석고, 더 거짓되고, 더 부유하고, 더 신선한 삶에 대한 투쟁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삶과 씨름하는 "진리"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 삶과 씨름하는 한 종류의 삶입니다.—하지만 전자는 더 높은 종류일 것입니다!—여기서 우리는 어떤 순위 순서가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첫 번째 문제는 생명의 종류 중 순위 순서라는 것입니다.
-목차(Index)-
▶ 프롤로그(Prologue).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999선을 읽어야 하는 7가지 이유
▶ 8가지 키워드로 읽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
01. 망치를 든 철학자(philosopher with a hammer)
02. 신은 죽었다(Gott ist tott, 1882)
03. 아모르파티(Amor Fati, 1882)
04. 위버멘쉬(Übermensch, 1885)
05. 영원 회귀(永遠回歸, Ewige Wiederkunft, Eternal Return, 1885)
06.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를 만나는 장소 TOP10
07. 오디오북(Audio Books)으로 듣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08.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어록(Quotes)(99)
▶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3부 1901(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II)
TRANSLATOR'S PREFACE; BOOKS I AND II
TRANSLATOR'S PREFACE; BOOKS III AND IV
PREFACE.
▷ THIRD BOOK. THE PRINCIPLES OF A NEW VALUATION.
I. The Will to Power in Science—
I-(a)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b) The Starting-Point of Epistemology
I-(c) The Belief in the "Ego." Subject
I-(d) Biology of the Instinct of Knowledge. Perspectivity
I-(e) The Origin of Reason and Logic
I-(f) Consciousness
I-(g) Judgment. True—False
I-(h) Against Causality
I-(i) The Thing-in-Itself and Appearance
I-(k) The Metaphysical Need
I-(l) The Biological Value of Knowledge
I-(m) Science
II. The Will to Power in Nature—
II-1. The Mechanical Interpretation of the World
II-2. The Will to Power as Life—
II-2-(a) The Organic Process
II-2-(b) Man
II-3. Theory of the Will to Power and of Valuations
III. The Will to Power As Exemplified in Society and in the Individual
III-1. Society and the State
III-2. The Individual
IV. The Will to Power in Art
▶ 부록(Appendix). 세계의 고전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Worlds's Classics)
A01. 하버드 서점(Harvard Book Store) 직원 추천 도서 100선(Staff's Favorite 100 Books) & 판매도서 100위(top 100 Books)
A02. 서울대(Seoul University) 권장도서 100
A03. 연세대(Yonsei University) 필독도서 고전 200선
A04. 고려대(Korea University) 세종캠퍼스 권장도서 100선
A05. 서울대·연세대·고려대(SKY University) 공통 권장도서 60권
A06. 성균관대(Sungkyunkwan University) 오거서(五車書) 성균 고전 100선
A07. 경희대(Kyung Hee University) 후마니타스 칼리지(Humanitas College) 교양필독서 100선
A08. 포스텍(포항공대,POSTECH) 권장도서 100선
A09. 카이스트(KAIST) 독서마일리지제 추천도서 100권
A10. 문학상(Literary Awards) 수상작 및 추천도서(44)
A11.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오디오북을 무료로 듣는 5가지 방법(How to listen to FREE audio Books legally?)
A12. 영화·드라마로 만나는 영어고전(Movies and TV Shows Based on English Classic Books)
▶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999선
▶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도서목록(1,809)
▶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999선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999선은 수백 년의 세월에도 변치 않는 명저 중 대중성을 겸비한 베스트셀러를 엄선해 선정하였습니다. 조명화 편집장의 ‘키워드로 읽는 작가 & 작품’ 해설과 세계 최대의 무료 도메인 오디오북(free public domain audioBooks) 플랫폼 리브리복스(LibrIVox) 오디오북 링크를 첨부하였습니다. 수백 년의 세월에도 변치 않는 명저의 감동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 27부작
영어고전075 프리드리히 니체의 선악의 저편 1886
English Classics075 Beyond Good and Evil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083 프리드리히 니체의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
English Classics083 Thus Spake Zarathustra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3 프리드리히 니체의 호메로스와 고전 문헌학 1868
English Classics963 Homer and Classical Philology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4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리교육기관의 미래에 대하여 1872
English Classics964 On the Future of our Educational Institution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5 프리드리히 니체의 비극의 탄생; 또는 헬레니즘과 염세주의 1872
English Classics965 The Birth of Tragedy; or, Hellenism and Pessimism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6 프리드리히 니체의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1부 1873
English Classics966 Thoughts out of Season, Part I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7 프리드리히 니체의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2부 1873
English Classics967 Thoughts Out of Season, Part II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8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리 문헌학자들 1874
English Classics968 We Philologist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69 프리드리히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부 1878
English Classics969 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Part 1 by Nietzsche
영어고전970 프리드리히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2부 1878
English Classics970 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Part 2 by Nietzsche
영어고전971 프리드리히 니체의 아침놀 1881
English Classics971 The Dawn of Day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2 프리드리히 니체의 즐거운 학문 1882
English Classics972 The Joyful Wisdom("La Gaya Scienza")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3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883
English Classics973 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4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부 1883
English Classics974 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5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3부 1883
English Classics975 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6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4부 1883
English Classics976 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7 프리드리히 니체의 도덕의 계보 1887
English Classics977 The Genealogy of Moral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8 프리드리히 니체의 바그너의 경우 1888
English Classics978 The Case of Wagner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79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상의 황혼 1889
English Classics979 The Twilight of the Idols; or, How to Philosophize with the Hammer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80 프리드리히 니체의 안티크리스트(적그리스도) 1895
English Classics980 The Antichrist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81 프리드리히 니체의 바그너의 경우, 니체 대 바그너 그리고 격언집 1896
English Classics981 The Case of Wagner, Nietzsche Contra Wagner, and Selected Aphorisms by Nietzsche
영어고전982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1부 1901
English Classics982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
영어고전983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2부 1901
English Classics983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I
영어고전984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3부 1901
English Classics984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II
영어고전985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4부 1901
English Classics985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V
영어고전986 프리드리히 니체의 이 사람을 보라 1908
English Classics986 Ecce Homo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영어고전987 프리드리히 니체의 초기 그리스 철학과 다른 에세이들 1909
English Classics987 Early Greek Philosophy and Other Essay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 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는 2012년부터 현재까지 1,000종 이상의 콘텐츠를 기획 및 출간한 여행 전문 디지털 콘텐츠 퍼블리셔(Digital Contents Publisher)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작가와 함께 신개념 여행 가이드북 원코스(1 Course), 포토에세이 원더풀(Onederful), 여행에세이 별 헤는 밤(Counting the Stars at Night) 등 전 세계를 아우르는 분야별 여행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방송대 기네스상 2017 ‘최다 출간 및 최다 자격증’ 수상)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여행을!
▶ Theme Travel News TTN Korea(테마여행신문 TTN Korea) is the digital content publisher that published more than 1,000 types of content since 2012. Along with professional writers in various fields, we regularly publish various travel contents such as 1 Course(원코스), Onederful(원더풀), Counting the Stars at Night(별 헤는 밤) Series. Von voyage with Theme Travel News TTN Korea(테마여행신문 TTN Korea)!
▶ 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
Webzine : http://themetn.com
Publisher : www.upaper.net/themetn
Youtube : https://bit.ly/3LFxOhm
Facebook : www.fb.com/themetn
Twitter : www.twitter.com/themetn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