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방송 콘텐츠 기획

지역방송 콘텐츠 기획

About this Book

위기의 지역방송, 돌파구는 있나? 지역 시청자들은 지역방송 프로그램을 즐겨 보지 않는다. 지역방송 프로그램 제작 여건의 미비→질적 수준 미흡→낮은 시청률→광고판매의 부진→프로그램 제작 재원의 부족과 같은 악순환 고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광고 판매가 부진한 데는 지역 경제의 낙후와 제한된 네트워크망을 주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할 방안으로 저자들은 지역문화 브랜딩과 전통문화 콘텐츠 기획을 제안한다.

지역문화 브랜딩은 무엇인가?
지역문화 브랜딩은 지역의 고유성을 바탕으로 그 지역만의 고유한 본디 모습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전략이다. 그렇다면 지역문화 브랜딩 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콘텐츠 유형을 개발해야 할까? 바로 정보와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다. 지역문화 브랜딩 자원을 활용하여 유통 규모에 맞는 제작비를 투자하고, 멀티유즈를 통해서 수익을 확보하는 콘텐츠 전략을 짜야 한다.

무엇을 어떻게 만들까?
생태, 음식, 종교, 문화유산을 주제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지역의 장소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 성공 사례로 전통문화 콘텐츠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부산 MBC의 <꼴>, KNN의 <낙동강의 탈놀음>, <아시아 마스크 루트>, 대구MBC의 <천년의 향, 우리 누룩>의 구성을 분석하여, 전통문화와 지역의 자원으로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No similar books found.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