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한집

보한집

About this Book

≪보한집≫은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을 보충하면서 이규보의 문학관을 수용한 비평서다. 우선 그 이름에서부터 ≪파한집≫의 속편임을 자처하고 나섰다. ≪고려사≫에는 ≪속(續)파한집≫으로 기록되어 있다. ≪파한집≫의 간행으로 자칫하면 소멸되기 쉬운 작품을 모아 놓은 것은 다행이지만, 수록된 범위가 넓지 않으니 보완하라는 당시의 집권자 최이의 명을 받고 책을 짓는다고 했다. 과연 ≪보한집≫은 ≪파한집≫에 없는 자료를 적지 않게 수록하고, 이인로 이후 최자 시대에 이르기까지 새로 나온 시도 다수 포괄해 취급 범위를 넓혔다. 그러나 ≪보한집≫은 단순 자료집이라기보다 일정한 문학관을 반영하고 있는데, 최자는 이인로와 이규보의 논쟁을 의식하면서 이규보의 노선을 자기 나름대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보한집≫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上卷)에는 고려 태조의 문장을 비롯한 역대 이름 있는 학자들의 언행과 누각·정자·역사(驛舍) 등을 소재로 한 시 등 52화(話), 중권(中卷)에는 이인로·이규보 등의 선배 문인들의 일화와 시문 평론 46화, 하권(下卷)에는 21품(品)에 걸친 모범적 시구와 함께 자신의 문학론과 승려·기생의 작품 등 49화가 수록되어 있다.

≪보한집≫은 다른 어느 시화보다 문학론이 풍부하다. 당시 고려의 시단은 소식(蘇軾)을 배우려는 풍조가 지배적이었고, 작시법에 있어서는 적절한 고사 사용 등 언어의 묘미를 강조한 이인로 계열과 새로운 뜻[新意]의 창출을 역설한 이규보 계열의 주장이 있었다. 상반되는 주장은 아니지만 ≪보한집≫에서는 언어적 표현미를 강조한 이인로 쪽보다는 참신한 의미를 내세우는 이규보 쪽의 입장을 옹호하고 그의 이론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