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리랑문화

한국의 아리랑문화

About this Book

문화란 극히 복합적인 관념의 집합체인지라 저마다 이에 관한 다양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혹자는 사회구성원에 의해 학습되고, 공유되고, 양식화되고, 전승되는 속성을 지닌 복합적 총체를 문화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견해를 비추어 볼 때 한민족 구성원 모두에게 전해 오며 살아있는 실체로 존재하는 우리의 아리랑문화에 관한 책을 기획 출간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다. 이 책이 우리민족의 대표적 가락인 아리랑과 아리랑문화를 널리 알리는 개론서의 구실은 물론 아리랑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는 학자들에게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하기를 바란다. 특히 지난 6월 중국 국무원이 아리랑을 중국 국가주요무형유산으로 등재하여 혼란스러운 이때에 한민족의 정체성과 한국문화의 원형으로서 이 책은 아리랑을 한국문화론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그 내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이는 국내외 독자들이 한국의 아리랑문화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아리랑의 문화 표상, 미학, 정서, 한민족의 심상공간, 한의 풍류 등의 내용을 다뤘다.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에서는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 근대 민요 아리랑의 부각, 근대사 만화경, 아리랑 문화, 지속과 변용의 길, 본조아리랑 시대 등을 다룬다. 제3부 ‘아리랑의 분포와 그 양상’에서는 아리랑의 종류와 지역별 분포, 각 지역 아리랑의 실상과 사연 등의 내용을 살피며, 4부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에서는 노래로서의 아리랑을 위한 민요의 일반적인 이해, 밀양 아리랑, 정선 아리랑 등 다양한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한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