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글을 추구하는 웹소설작가 : 청소년들의 진로와 직업탐색을 위한 잡프러포즈 시리즈 21

재미있는 글을 추구하는 웹소설작가 : 청소년들의 진로와 직업탐색을 위한 잡프러포즈 시리즈 21

About this Book

웹소설작가 노경찬 저자는 재미있는 글을 추구한다면 웹소설작가에 도전하라고 제안하며 웹소설작가라는 직업의 세계와 웹소설작가가 되는 방법을 알려준다. “작가는 머릿속에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그곳에 하나의 세계를 창조 해내요. 그 세계가 유기적으로 돌아가도록 고민하는 일에서 희열을 느끼고요. 공상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만들어낸 저만의 세계를 남들에게 보여주면 사람들은 즐거워하죠. 정말 신나는 일이에요. 글을 쓰는 데에는 공간의 제약도 받지 않아요. 시간도 자유롭게 쓸 수 있고요. 어디든 내가 있는 곳이 일터가 되죠. 외국에 나가서도 화장실에 가서도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중에도 내가 원하면 일을 할 수가 있으니까요.” 작품을 준비하면서 가장 신경 쓰는 점은? “독자들의 공감”이다. “내 이야기를 읽고 공감해줬으면 좋겠다는 게 작가로서의 가장 큰 바람이거든요. 제 전작의 주인공이 세 아이를 키우는 홀아비였어요. 글을 올리고 댓글을 봤는데, 아이가 있는지, 어쩜 그렇게 육아에 관해 잘 아는지 묻는 질문이 많았죠. 실제 아이가 있는데 그 아이를 돌보는 게 정말 힘들더라고요. 쉬지 않고 계속 울어 대면 내 아이라도 짜증날 때가 있고요. 죄책감은 들지만 아이 보는 게 너무 벅차면 아내한테만 맡기고 도망을 가죠. 그런 경험이 있어서 육아 스트레스가 얼마나 큰지 잘 알아요. 그런 일상의 경험들을 소설로 옮겨놨더니 많은 공감을 얻게 되더라고요. 원하던 걸 이끌어내서 정말 기분이 좋았어요.” 저자가 생각하는 웹소설작가의 매력은 무엇일까? “내 생각, 나만의 상상, 내가 만든 세계관을 글로 표현하면서 극한의 자유를 얻을 수 있어요. 소설 안에 서는 무엇이든 가능하니까요. 그래서 정말 즐겁게 일하는데, 그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까지 벌 수 있으니 얼마나 좋아요. 거기에 더해 독자들이 제 글을 재미있어하고 사람들의 반응이 좋으면 쓰는 저는 더 기쁘고요.” 작가의 입장에서 좋은 작품이란? “많이 팔리는 작품”이다. “굉장히 상업적이고 속물적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그래요. 돈은 하찮은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소중해요. 사람들이 그런 귀중한 돈을 소설을 읽는데 지불한다는 것은 그 소설이 가치가 있다는 뜻이겠죠. 그 가치가 재미든 감동이든 뭐든 말이에요. 다시 말해 많은 이들이 찾는 재미있는 작품이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글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많이 읽고,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쓰세요.” “만 시간의 법칙, 들어보셨나요?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최소한 만 시간 정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인데요. 작가라는 직업도 마찬가지예요. 많은 시간을 들여 글을 쓰다 보면 글을 쓰는 능력이 좋아질 수밖에 없죠. 처음부터 잘 쓰려는 마음보다는 우선 많이 써보는 게 중요해요. 저는 글쓰기에 있어서도 이 법칙은 유효하다고 믿어요. 많이 읽고, 많이 써봐라. 사실 다들 아는 방법일 거예요. 하지만 우리 삶의 진리는 대부분 그렇죠. 다들 알지만 더 빨리 우뚝 서고 싶기 때문에 좀 더 쉬운 방법을 찾는데요. 쓰다 보면 결국 노력과 고민으로 이뤄진 시간, 이 방법 밖에는 없다는 깨달음을 얻을 거라고 생각해요.” 웹소설작가가 되고 싶다면 학창시절에 어떤 준비를 하면 좋을까? “학창시절만큼 뭔가에 흠뻑 빠져 지내기 좋은 시절도 없는 것 같아요. 사람마다 관심사는 다르겠지만 나중에 소설을 쓰고 싶다면 책 읽기에 흠뻑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소설을 쓰기 전까지는 무조건 많이 읽어보는 게 중요하거든요. 그런데 한번 장르문학에 빠지면 순수문학을 찾아 읽기는 어려워요. 그러니 어렸을 때는 우선 세계문학전집에 수록된 고전이나 학교 추천도서를 두루 읽어보는 것이 좋겠어요. 일단은 많이 읽고 습작은 천천히 해도 돼요. 계속 읽다 보면 나도 한번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거예요. 그때 습작을 시작하세요.” 웹소설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자질을 갖추어야 할까? “인간과 사물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과 세밀한 관찰력이 있어야 이야기를 쓸 수 있겠죠. 이를 바탕으로 글을 쓸 수 있는 문장력과 표현력, 창의력도 필요하겠고요. 그리고 무엇보다 의지가 중요해요. 한 편의 작품을 시작해 긴 소설을 완결하려면 성실함과 인내력이 있어야 하거든요. 상사도 동료도 없이 혼자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스스로 스케줄을 정해 지킬 수 있는 의지가 꼭 필요해요.”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