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컨슈머의 등장

소셜 컨슈머의 등장

About this Book

2015년, 소비자는 이런 상품을 원한다

팔려도 너무 안 팔린다. 소비자의 마음을 끌 방법은 정말 가격 할인뿐인 걸까? 아니다. 소비자의 마음은 이미 다른 곳에 있다. 시장 환경도, 소비자의 니즈도 이미 바뀌었다.

20세기는 제품을 소유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21세기는 제품을 통해 누군가와 연결(communication)되어야 한다. 제품이 자신을 표현하는 개성을 만들어야(creation) 한다. 제품 주변의 동료와 공통의 세계관을 형성(culture)하는 데에 시간을 들이고 돈을 쓴다.(본문 109쪽)

무엇이 얼마나 변했을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세계적인 광고회사 덴츠가 일본의 소비자를 집중 조사했다. 『소셜 컨슈머의 등장』이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지금의 10대가 소비의 주역이 되는 2015년이 기준이다. 소비 트렌드의 7가지 큰 흐름(모바일 네이티브, 액티브 에이징, 가족, 프로세스 소비, 사회적 자본, 관광, 에너지)을 잡아내 59가지 트렌드로 정리했다.

카미조 노리오는 ‘사회적 소비’를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다. 소비 트렌드가 양/개인에서 질/연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는 ‘잃어버린 10년 후 맞은 대불황에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환경을 고려하면서 계속 이익을 낼 수 있는 비즈니스는 무엇인가?’ ‘지금의 10대, 즉 2015년 전후부터 사회인이 되는 이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느끼고, 원하고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덴츠의 소비자연구센터를 이끌었으며, 지금은 소셜플래닝센터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3년 정도 우리나라가 일본과 차이 난다고 한다. 경제 규모가 작고 자본주의 역사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소셜 컨슈머의 등장』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 소비자의 행태와 출시 상품을 보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이 책은 당신에게 2015년을 겨냥한 다양한 비즈니스 힌트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소셜 컨슈머, 왜 탄생했으며 어떻게 진화하고 있나?

소비자는 개인의 소비 행위가 세계, 그리고 미래와 연결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오늘날 소비는-그 자체로는 이타적이라 할 수 없지만-의외라고 할 만큼 인간, 사회, 환경 등 폭넓은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예전 같이 ‘개인’이라는 가치관에만 입각한 폐쇄적인 소비자상은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양·개인’이 아니라 ‘질·연결’을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행태, 즉 ‘사회적 소비’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확산으로 이러한 흐름은 더욱 거세지고 빨라질 것이다. 이른바 ‘소셜 컨슈머’들이 시장의 흐름을 좌우한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