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옥 문집

이옥 문집

About this Book

이옥의 작품은 ≪담정총서(?庭叢書)≫에 수록된 문집들에 주로 소개되어 있지만, 그의 시문학론과 민풍시 이언(俚諺)은 ≪예림잡패(藝林雜佩)≫ <이언인(俚諺引)>에 수록되어 있고, 희곡집 ≪동상기(東床記)≫도 따로 전한다. ≪담정총서≫는 조선 후기 정조가 문체반정 정책을 펴면서 패사소품체의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한 담정(?庭) 김려(金?)에 의해서 간행된 필사본이다. 김려의 문집 ≪담정유고(?庭遺藁)≫ 권10 <총서제후(叢書題後)>에는 김려가 편찬한 문집의 제후(題後), 예를 들어 김시랑의 <현수관소고권후(玄水?小稿卷後)>를 시작으로 이익지(李益之)의 <죽장산고권후(竹莊散稿卷後)>등 여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보면 ≪담정총서≫에는 39권의 문집이 수록되어 있을 것이다.

이 총서는 통문관(通文館)에 소장되어 있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를 맨 처음 소개한 이는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이다. 선생은 ≪이조한문소설선≫(민중서관, 1961년)에 이옥의 전문학(傳文學) 23편 중 15편을 뽑아 소개했다. 이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역자의 석사학위 논문 <이옥연구>에서 그의 생애와 세계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옥연구>는 이옥의 문집 일부만을 소장자로부터 얻어 보고 소개한 것이어서 작가 생애에 대한 오류가 없지 않았다. 그 뒤에 역자는 <이옥의 문학 이론과 작품 세계의 연구>에서 그의 생애와 세계관 그리고 문학 이론과 작품 세계를 재론한 바 있다. ≪예림잡패≫에 수록된 <이언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수장된 필사본을 역자가 학계에 처음 소개해 알려지게 된 자료다. <이언인> 제목 아래 기록된 저자는 연안(延安) 이옥(李鈺)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 때문에 이옥의 본관에 대해서 학계에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다.<이언인>의 서문에 해당하는 <일난(一難)>, <이난(二難)>, <삼난(三難)>은 이옥의 시문학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언>에는 그의 작품 66편의 절구가 수록되어 있는데 ‘아조(雅調)’ ‘염조(艶調)’ ‘탕조(宕調)’ ‘비조(?調)’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민풍시(民風詩) 성격이 강하다. ≪동상기≫는 현재까지 5편의 이본이 전한다.

이옥의 현실에 대한 인식 태도를 살펴보면 생애 전·후반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성균 유생 시절에 쓴 음양오행이나 불교의 윤회에 관한 글 등에서는 유교적 경험론에 입각한 합리주의적 사고를 보여 준 반면에, 문체로 인해 입신의 길을 포기한 뒤에 쓴 글 등에서는 신비체험의 세계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현실에 대해 반유교적이고, 비합리주의적인 인식 태도를 보여 준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는 인간 본래의 모습과 계층 간의 역할이 따로 있음을 전제하고 소속된 계층에 관계없이 인간 존엄성을 인정했다. 그리하여 군자(君子)와 야인(野人)과의 관계를 상보적 관계로 파악해 민생의 역할을 분명히 했고, 평등주의에 입각해 민생의 존엄성도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민중들의 반도덕적 행위에 관심을 보이면서 민중들의 이런 행위에 대한 근본적 책임이 지배계급의 민중 수탈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서 유교적 도덕주의를 엄격히 실천할 것을 지배계급에 요구하기도 했다. 전통문화에 대해서도 그는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그가 문체 때문에 삼가[三嘉, 다른 이름은 봉성(鳳城)]현에 충군되어 그곳에 머무는 동안에 견문했던 것을 기록한 <봉산문여>는 당시의 영남 민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그는 여기서 종래의 모화적(慕華的) 의식에서 탈피해 우리 것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투철한 자존의식으로 화이론(華夷論)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었다. 전통문화에 대한 주체의식은 그의 문학관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조선 사람은 조선의 문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 역서에서는 이옥의 모든 작품을 소개할 수 없으므로 작품 유형별로 선별해서 실었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