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듬과 저널리즘
About this Book
알고리듬과 저널리즘은 양립 가능한가?
최신 이슈를 네이버, 카카오톡, 유튜브, 페이스북 등 실제 사례로 읽어
유튜브 알고리듬은 오늘도 나를 취향저격 콘텐츠로 이끈다. 네이버에 접속하면 나와 비슷한 연령대와 성별의 이용자가 어떤 물건을 구매했는지 알려주고, 페이스북은 내 ‘친구’ 중 교류가 많은 ‘친구’의 소식을 자주 노출 시켜준다. 플랫폼 중심의 웹 2.0 시대 이후 사실상 우리는 알고리듬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다. 철저히 ‘나’에게 맞춰주는 알고리듬을 구성하는 플랫폼들을 외면하기란 쉽지 않다. 플랫폼에서 모르는 분야를 배우기도 하고, 취미 생활도 하고, 새로운 친구도 사귀며, 쇼핑도 한다. 가족끼리 연락하고 사진도 주고받는다. 우리는 알고리듬이 이끄는 플랫폼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뉴스 역시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레거시 미디어에서 확인하지 않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 따르면 2011년에는 44.6%가 종이신문에서 뉴스를 확인했지만, 2020년에는 10.2%에 불과했다. 사람들은 포털 사이트나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에서 뉴스를 소비한다.
뉴스를 알고리듬에 따라 배열하고 추천하는 환경에 처하면서 우리는 과거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뉴스를 소비한다. 이제는 알고리듬에 따라 인공지능이 추천해주는 포털 사이트의 뉴스를 이용한다. 단순한 정보나 의견이 추가된 콘텐츠가 마치 뉴스처럼 유통된다. 특정한 사안에 관한 ‘의견’이 ‘사실’보다 중요시되기도 한다. 페이스북과 같은 플랫폼에서 정보와 뉴스는 ‘친구’ 관계 속에서 읽어 내게 된다. 플랫폼 내 오피니언 리더의 영향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카카오톡의 뉴스봇과 같이 이용자가 뉴스봇(news bot)과 대화를 나누며 뉴스를 찾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알고리듬에 따라 작동하는 비인간 행위자를 고려하여 저널리즘을 논의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레거시 미디어 시대의 뉴스 개념으로는 저널리즘을 논의하기 어려울 정도다. 뉴스의 정의, 기자의 정의조차 어쩌면 새롭게 규정되어야 할 수 있다.
알고리듬 시대의 저널리즘은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무조건적인 우려도, 지나친 유연성도 위험하다. 뉴스를 채택하고 생산하는 과정은 미디어와 국가의 발달에 따라 달라졌기에 레거시 미디어 시스템에서 뉴스가 생산되고 유통되며 소비되는 방식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알고리듬이 주도하는 플랫폼 환경을 분명히 고려하며 저널리즘을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 책은 ‘알고리듬 저널리즘’의 사회적 관점에서 거대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뉴스의 변화와 주요 이슈를 짚어본다. △네이버의 인공지능 큐레이션, △유튜브의 추천시스템, △페이스북의 토픽 읽기 구조, △카카오톡의 뉴스봇 작동 방식 등 주로 뉴스의 유통 과정에서 작동하는 알고리듬에 관해 다룬다. 독자들이 알고리듬 저널리즘의 현황을 파악하고, 알고리듬 세상에서 뉴스 가치 구현의 고민을 함께 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