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눈
About this Book
현재 북유럽에서 가장 비중 있는 순문학 중견 작가 옌스 크리스티안 그뢴달의 아름다운 작품 『가끔 난 행복해』가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덴마크 코펜하겐 출신의 작가 그뢴달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다. 덴마크 영화 아카데미의 영화감독으로 일하다 1985년 문단에 데뷔한 이후 스무 편이 넘는 장, 단편과 에세이를 써 독자의 저변을 넓혀 온 그는 현재 영미권에도 활발히 소개되고 있다. 1998년 『루카』로 덴마크 황금 월계관 상을 수상했고, 2006년 『변한 빛』으로 국제 임팩 더블린 문학상, 프랑스 메디치 상, 페미나 상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그의 작품 『가끔 난 행복해』는 2017년 최신작이자 작가가 직접 영어로 번역한 작품으로, 노년의 여인이 보내 온 독특한 삶에 대해 더할 수 없이 섬세히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북유럽 대중 소설과 범죄 소설이 광풍을 몰고 있는 국내 출판계에 북유럽 문학의 새로운 흐름을 전할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고통의 공유
빈민가에서 미혼모였던 엄마와 쓸쓸히 자라온 엘리노르. 그녀에게 경쾌한 성격의 남자 헨닝과의 만남은 삶을 돌파할 해답으로 보였다. 그와 결혼한 후 어쩌다 게오르그와 안나 커플과 알게 된 그녀는, 심지어 집까지 이웃으로 이사할 정도로 친해진다. 아이가 생기지 않는 엘리노르와는 달리, 친구 안나는 쌍둥이 아들을 낳는다. 어느 날, 함께 휴가를 떠난 두 가족에게 뜻하지 않은 두 가지 불행이 동시에 닥친다. 엘리노르의 남편 헨닝과 친구 안나가 스키장에서 눈사태를 만나 모두 세상을 떠난 것. 그리고 죽은 둘이 몰래 만나 왔던 사이였다는 것. 남은 엘리노르와 게오르그에겐 또 다른 방법이 없었다. 둘은 서로가 동시에 겪은 상실과 배신의 고통을 서로 위로해 가면서 그 이후의 삶을 살아 나가게 된다.
소설은 여러 차례 ‘상실’의 테마를 다룬다. 먼저 엘리노르 이전에 그녀의 엄마 시그리드의 사랑 이야기가 있다. 엄마는 모두가 가난했던 전쟁 시절 술집에서 일하다, 독일 장교인 토마스 호프만을 만난다. 둘 다 문학을 읽는다는 공통점으로 그들은 급속히 가까워졌지만, 독일군과 관계를 맺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던 시절이었다. 호프만은 전쟁이 끝난 후 다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남기고 떠난 채 영원히 시그리드 곁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엘리노르는 자연스레 “독일인을 사랑한 잡년의 자식”이 되어 사람들의 눈총을 받으며 자랐다. 엄마의 곁에 다가오는 몇몇 남자들이 있었지만, 그녀는 그들을 거부하고 첫사랑의 기억을 놓지 못한 채 살아간다. 한 세대 전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엄마 시그리드에서 그리고 이제 남편과 친구를 잃은 엘리노르까지, 소설은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이라는 감정적인 테마를 가지고 진행된다.
사랑하지 않았던 사람을 사랑하게 되는 운명
상실을 겪은 엘리노르는 현재 시점에서 노년의 여인이다. 스키장에서의 사고 이후 게오르그의 집에 들어가 함께 살게 된 이야기가, 그녀와 그녀 어머니의 과거 이야기와 뒤섞여 진행되는 것이다. 게오르그와 엘리노르 모두 한 사고로 가족을 잃은 슬픔을 공유하고 있는 탓에, 그리고 게오르그의 집에는 어린 쌍둥이 형제가 있던 탓에, 엘리노르는 이웃인 그의 집에서 아이를 돌보아 주게 되면서 게오르그와 자연스레 삶을 함께하게 된다.
그럼에도 쉽지 않은 삶임은 소설 내에서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사랑과 헌신이라는 감정을 배신한 남편과 친구에 대한 원망, 친구의 남편인 게오르그에 대한 연민과 사랑이 뒤섞인다. 그리고 자신의 자식이 아닌 두 쌍둥이를 키우며 감내해야 했던, ‘진짜 엄마’, ‘진짜 가족’이 아니라는 소외감까지. 하지만 그녀는 게오르그의 진중한 면을 사랑하게 되고, 때로는 중산층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주는 안온함에 안도하게 된다.
소설은 거의 엘리노르의 독백으로 진행되는데, 영화감독 출신 작가의 묘사 능력은 독자로 하여금 마치 북유럽 배경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생생히 전달한다. 그리 길지 않은 분량임에도, 소설은 깊고 섬세한 감정 묘사와 낯설고 솔직한 스토리 덕분에 곱씹을 만한 여운을 가득 남긴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