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궐사
About this Book
당나라의 빠진 역사
《당궐사(唐闕史)》는 ‘당나라의 빠진 역사’라는 뜻으로, 당나라의 문인 고언휴(高彦休)가 희종(僖宗) 중화(中和) 4년(884)에 찬한 역사 쇄문류(歷史瑣聞類) 필기 문헌이다. 《당궐사》는 상하 2권에 총 51조의 고사가 실려 있는데, 중당(中唐)과 만당(晩唐)의 역사 인물에 관한 일화가 대부분이다. 또한 일부 고사의 말미에 찬자의 평어(評語)가 달려 있어서, 이를 통해 고언휴의 가치관과 세태 비평을 살펴볼 수 있다.
역대 저록을 살펴보면 《당궐사》의 서명은 원래 “궐사”였는데, 송대부터 “당궐사”라는 서명이 등장해 이후 두 가지 서명이 혼용되다가 청대부터는 대부분 “《당궐사》”로 불렸음을 알 수 있다. 고언휴는 당나라 사람이었기 때문에 서명에 굳이 “당” 자를 붙일 필요가 없었겠지만, 당나라 이후에는 시대를 특정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당” 자를 덧붙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래는 3권으로 전해지다가 명대에 이르러 2권으로 줄어들어 현재는 24권으로 전하고 있다.
당 대종∼희종 연간의 역사 인물 이야기
《당궐사》에 수록된 고사는 시대 범위가 당 대종(代宗) 대력(大曆) 연간(766∼779)부터 희종(僖宗) 건부(乾符) 연간(874∼879)까지 약 100여 년이며, 대체로 연도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내용은 〈자서〉에서 “자랑해 숭상하거나 담소에 도움을 주거나 훈계를 드리우는 것”을 실었고 “내실(內室)의 일에 가까운 것과 의심나고 허망한 일”은 제외했다고 밝혔다.
첫째, “자랑해 숭상하는 것(爲誇尙者)”은 관리의 명철하고 공정한 판결이나 청렴결백한 미덕을 칭송하는 내용이다. 둘째, “담소에 도움을 주는 것(資談笑者)”은 대부분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내용으로, 고사성이 비교적 높고 소설적인 색채가 농후하다. 셋째, “훈계를 드리우는 것(垂訓誡者)”은 사리에 어두워 남에게 사기당해 재물을 빼앗긴 사람에게 경종을 울리는 내용이다.
문헌적 가치
《당궐사》의 문헌 가치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학적 측면에서 《당궐사》는 중당과 만당에 실존했던 제왕을 비롯해 고관과 문인에 관한 많은 일화를 수록해 ‘보사지궐(補史之闕)’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당궐사》에는 총 16조에 “참료자왈”이라는 찬자 고언휴의 논평이 실려 있는데, 해당 고사에 근거해 사회의 부조리와 인정세태를 비판하거나 해당 인물을 칭송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는 다른 필기 소설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장치로, 고언휴는 《사기(史記)》의 “태사공왈(太史公曰)”이라는 논평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학적 측면에서 《당궐사》는 당시 문인들이 지은 시에 관한 일화를 수록해 귀중한 문학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제23조 〈조강음정사〉와 제29조 〈최상서설원옥〉은 후대 공안 소설(公案小說)과 공안희(公案戲)의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
《당궐사》는 일찍이 청 건륭제(乾隆帝)가 친히 열람하고 〈제당궐사(題唐闕史)〉라는 7언 율시를 지을 정도로 그 내용과 문헌 가치가 상당히 중요한 역사 쇄문류 필기 문헌이지만, 국내는 물론이고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당궐사》에 대한 번역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은 국내외 초역이자 완역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 책은 청대 포정박(鮑廷博)의 지부족재본(知不足齋本) 《당궐사(唐闕史)》를 저본으로 하고 기타 판본과 관련 전적을 참고해 전체 51조의 고사를 우리말로 옮기고 주석을 달았으며, 교감이 필요한 원문에는 해당 부분에 교감문을 붙였다. 부록에는 〈역대 서발(序跋)〉과 〈역대 저록(著錄)〉을 첨부했다.
Source: View Book on Googl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