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 김별아 장편소설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 김별아 장편소설

About this Book

그의 몸에 내 이름을 새기고 그 자취를 가슴에 품었다 고관대작의 딸로 태어나 왕실의 며느리로 살았으나 한낱 허무할 뿐인 자신을 되찾기 위해 끝없이 방황한 여인, 어우동 ‘열녀’ 또는 ‘음녀’로 평가되는 조선시대 여인들 속에서 ‘희대의 방종녀(放縱女)’로 남은 여인, 세종대왕의 형인 효령대군의 손자며느리에서 남편에게 버림받은 소박데기가 되었다가, 이후 3년여의 짧은 기간 동안 열여섯 명이 넘는 남자들과 간통한 사실이 밝혀진 지 3개월 만에 급기야 교형(絞刑)에 처해진 여인, 양반가의 여인으로서 신분, 나이, 촌수를 아랑곳하지 않고 종친부터 노비까지 관계를 가지고 문신으로 그 이름을 남긴 전대미문의 사건 속 여인, 어우동. 『조선왕조실록』이 담아내지 못한 그녀의 진정한 갈망은 무엇이었을까? 『미실』로 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문학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은 김별아 작가가 조선이라는 억압적 사회와 욕망하는 여성의 충돌을 주제로 구상한 ‘조선 여인 3부작’의 마지막 편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를 출간했다. 조선 왕실 동성애 스캔들을 다룬 『채홍(彩虹: 무지개)』, 세종대 양반가 간통 사건을 그린 『불의 꽃』에 이어 조선 최고의 ‘문제적 여성’ 박어을우동(朴於乙宇同)의 삶을 되살려냈다(소설에서는 대중에 익숙한 ‘박어우동’의 표기를 따랐다). 사랑했기 때문에 국가권력에 의해 비극적 죽임을 당한 여인들을 다룬 3부작 중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는 당돌하고 능동적이며 모험적인, ‘별종의 여인’에 관한 이야기로, 작가는 엄격한 신분 사회에서 사랑이라는 모험을 통해 자아를 찾고자 한 방랑자를 소설로 형상화했다.

Similar Books:

eBookmela
Logo